‘설마가 사람 잡는다’는 비관주의 법칙과 상통

  ‘잘못 될 가능성이 있는 일은 반드시 잘못 된다.’ 

1949년 미국의 항공 엔지니어 에드워드A. 머피는 항공기 추락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개발하고 있던 미 공군의 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었다. 

MX 981이라고 불리던 이 프로젝트는 급속한 감속이 일어났을 때의 관성력을 인간이 얼마나 견뎌 낼 수 있는가를 시험하는 것이었다. 

이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고속 로켓 썰매에 탄 사람의 몸에 여러 개의 센서를 부착해야 했다. 머피는 이 일을 조수에게 맡겼다. 센서를 거꾸로 부착할 가능성이 있기는 했지만 조수가 설마 그런 실수를 하랴 생각했다. 

그런데 정말 그런 일이 벌어졌다. 조수가 모든 센서를 거꾸로 부착하는 바람에 테스트가 실패로 돌아간 것이다. 

머피는 화가 나서 조수를 향해 말했다. “저 자식은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다 싶은 일을 하면 꼭 실수를 한다니까” 머피의 이 말은 그의 동료들 사이로 퍼져나가 <잘못 될 가능성이 있는 일은 반드시 잘못 된다.>라는 머피의 법칙으로 발전했다. 

<설마가 사람 잡는다>는 말과 상통하는 이 비관주의 법칙은 <버터 바른 토스트의 법칙>이라고도 불린다. 버터 바른 토스트를 떨어뜨리면 언제나 버터를 바른 쪽이 바닥에 닿는 현상이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이다. 

<몇 가지 예> 

 - 줄을 서면 언제나 옆줄이 빨리 줄어든다.

 - 진짜 괜찮은 남자나 여자에게는 이미 임자가 있다. 만약 임자가 없다면 무언가 남들이 모르는 이유  가  있는 것이다.

 - 문제가 해결될 때마다 새로운 문제들이 야기된다.

 - 이건 너무 멋져서 사실이 아닌 것 같다 싶으면 십중팔구 사실이 아니다.

 

저작권자 © 호남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